본문 바로가기

Books/2012

도요타 생산 방식

 

 


도요타 생산방식

저자
오노 다이이치 지음
출판사
미래사 | 2004-10-20 출간
카테고리
경제/경영
책소개
도요타 생산방식은 1973년 석유파동을 계기로 주목을 끌기 시작...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세계를 바꾼 기계들(The Machine That Changed The World)라는 책에서 산업 용어로서의 린(Lean)을 사용하였고,

린이라는 개념은 소프트웨어개발에서도 사용될 만큼 널리 퍼져있습니다.

린방식을 만들어낸 회사가 바로 도요타 압니다. 도요타 생산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바로 린 방식의 이해하는 출발점일테고요.

메리 포펜딕의 "린소프트웨어개발"이라는 서적을 보면 TPS(Toyota Production System) 서적을 레퍼런스로 많은 부분을 인용하거나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서적-도요타생산방식-은 메리포펜틱이 인용하던 TPS의 번역판압니다.

전혀 다른 분야인 소프트웨어 관련 서적에서 자동차 생산 방식을 벤치마킹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궁금하였고,

린소프트웨어개발 서적에서 가져다 쓰는 방식의 칸반(간판,Signal Card)과  간단하게 책에서 Polling System 이라고 표현되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했습니다.

메리포펜딕이 그의 서적에서 이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고는 해도 제가 이해할 만큼 충분하지는 않았나 봅니다.

아무튼 이 책을 통해서 그 부분에 대한 충분히 이해할수 있었습니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칸반은 Just-In-Time 이라는 개념을 현실화 하는 도구이며 린소프트웨어 개발에서도 사용하는 칸반은 태스크에 대한 관라지와 개발자의 개념을 바꾸어 놓는 도구였습니다.

다른 듯 보이는 두분야에서의 칸반의 공통점은 바로 역발상이라는 것입니다.

칸반은 앞에서 뒤로 순차적으로 흘러가던 포드 방식으로 표현되는 전통적 자동차 생산 방식인 기존의 패러다임과 소프트웨어 개발시 관리자로 부터 받아오던 업무를 개발자가 스스로 가져오는 방식으로 바꾸는 역발상의 도구라는 것이죠

린소프트웨어개발 서적에서 메리 포펜딕은 그런 의미를 간단하게 Polling System 표현한 것이구요.

그밖에도 이책을 통해 배울수 있는 것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도요타 일가의 혜안/노력/집념 그리고 도요타 일가의 Just-In-Time이라는 패러다임을 만들기 위해서 10냔 넘는 시간을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회사를 바꾼 오다 다이이치의 집념을 볼수 있습니다.

도요타가 만들어낸 새로운 패러다임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한 도요타의 사람들의 집념을 옅 볼수 있는 책입니다.

좀 더 일반화하여 접근을 하자면 조직을 바꾸고 개선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에 대한 성공기를 볼수 있는 서적입니다.

 

'Books > 201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먼스 미신  (0) 2012.04.18
현장경영  (0) 2012.04.12
성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57가지 법칙  (0) 2012.04.10
린소프트웨어개발의 적용  (0) 2012.04.09
테스트 주도 개발  (1) 2012.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