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하는 조직

(6)
09 정신모델 09 정신모델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아이디어가 실패하는 이유. 진정한 원인은 ‘정신모델’에 있다는 확신이 점점 커지고 있다.. 새로운 통찰이 실제 행동으로 옮겨지지 못하는 이유는, 그것이 세계가 어떻게 돌아가야 하는가에 대해 우리가 마음 깊은 곳에 간직하고 있는 내면의 이미지, 요컨대 익숙한 사고방식과 행동방식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이미지와 상충되기 때문이다.. 크리스 아지리스 “사람은 자신이 지지하는 이론에 맞춰 행동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그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이론에 맞춰서 행동한다는 것이다.”. 정신모델이 다르면 동일한 사건을 보고도 다르게 설명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세부 사항을 보고 해석도 다르게 하기 때문이다.. 정신모델의 문제는 그것의 옳고 그름에 있지 않다. 정의 자체..
학습하는 조직 8 08 개인적 숙련 학습조직의 정신. 조직은 학습하는 개인을 통해서만 학습할 수 있다.. 개인의 학습이 조직의 학습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개인이 학습하지 않으면 조직의 학습도 일어나지 않는다.이나모리 가즈오연구개발, 회사 경영 등 사업의 어떤 측면에서도 실질적인 힘은 바로 '사람'이다. 사람은 각자의 의지, 생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 만약 직원이 스스로 성정하거나 기술개발 목표에 도전하고자 하는 충분한 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성장도, 생산성 향상도, 기술개발도 없을 것이다. .경영자로서 자신의 임무는 '직원들에게 물질적인 행복과 정신적 행복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믿었다.빌 오브라이언나는 인간 본성에 한층 부합되는 조직 모델을 갈망한다. 위계 질서를 위시하는 전통 조직은 사람들의 고..
학습하는 조직 7 07 스스로 제한하는 성장인가, 자립하는 성장인가 스스로 '시장 한계'를 만들어내는 상황 숲도 보고 나무도 보기 . 하락은 '부담을 떠넘기는' 임시 방편들로 아예 가려져 버릴때도 많다. . 유형을 감지하기 힘든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 첫번째는 워낙 점진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 둘째, 그러한 신드롬 안에 있는 관리자의 눈에는 주의를 요하는 수많은 긴급 현안이 보인다. 따라서 큰 그림을 볼 겨를이 없다.
학습하는 조직 6 06 자연의 원형 : 사건을 통제하는 유형 규명 . 시스템 사고라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에서 나온 가장 중요하며 잠재적으로 가장 강력한 힘을 주는 통찰은 특정 구조의 유형이 계속해서 반복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을 '일반 구조'혹은 '시스템 원형system archetype' 이라 부를 수 있다. . 시스템 원형은 반복해서 나오는 기본 문장이나 간단한 이야기와 비슷하다. . 시스템 관점이 약속하는 가장 희망적인 전망은 바로 모든 분야에 걸친 지식의 통합이다. . 시스템 원형은 그것을 몰랐다면 '경영진의 이ㅡ사결정'이라고 두루뭉술하게 말하고 넘어 갔을 많은 것을 명확하게 해준다. . 시스템 원형을 숙지하는 것은 조직이 시스템 관점의 길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다. . 관리자가 시스템 원형의 관점에서 사고하는 것..
학습하는 조직 4,5 04. 시스템 사고의 법칙- 어제의 '해결책'이 오늘의 문제를 야기한다.: 문제를 시스템의 이쪽에서 저쪽으로 옮겨놓았을 뿐인 해결책의 실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카펫 장수의 사례와 달리 처음에 문제를 '해결'한 사람과 새로운 문제를 물려받은 사람이 다르기 때문이다. - 세게 밀수록, 튕겨내는 반동도 크다.: 동물 농장에 등장하는 박서의 부지런함이 실제로는 다른 동물이 돼지들의 부당한 행동을 보지 못하도록 일조하고 있었던 것이다. 시스템 사고에는 이러한 현상을 지칭하는 명칭이 있다. 바로 '상쇄 피드백(Compensating Feedback)'이다. 선의의 개입이 그로 인한 이익을 상쇄해 버리는 반응을 시스템에 야기하는 것이다.: 박서가 그랬듯이 그저 열심히 하면 모든 장애가 극복되리라는 신조에..
학습하는 조직 1,2,3 현실을 창조하고 바꾸기도 하는 행동 01. 충분한 긴 지렜대를 달라. 그러면 나 혼자서 지구도 움직일수 있으니: 세계가 긴밀하게 연결되고, 비즈니스가 역동적으로 복잡해질수록 업무는 학습과 더불어 이루어져야 한다.: 미래에 진정한 경쟁우위를 갖고 앞서나갈 조직은 상하구분 없이 모든 구성원의 학습능력을 활용하고 헌신을 끌어낼 방법을 찾아내는 조직이다. : 일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 대다수가 물질적 풍요를 누르게 되면서 일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도 변하고 있는 것이다. . 과거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 일에 내재한 "본질적 효용"을 추구하는 보다 "성스러운 관점"으로 이동하고 있다. - 학습 조직이 따라야 하는 5가지 규율 : 시스템 사고. 시스템 사고는 하나의 개념적틀, 일련의 지식과 도..